-
TIL-2024.02.26 - JS - 실행 컨텍스트-3. 렉시컬 환경-2> 기초/Javascript 2024. 2. 26. 22:27
var x = 1; const y = 2; function foo(a){ var x = 3; const y = 4; function bar(b){ const z = 5; console.log(a + b + x + y + z); // 20 + 10 + 3 + 2 + 5 } bar(10); } foo(20); // 42
------- 실행 컨텍스트의 생성과 식별자 검색 과정 ?
(실행 컨텍스트 생성 및 코드 실행 결과 관리, 실행 컨텍스트를 통한 식별자 검색)
과정/순서:
1. 전역 실행 컨텍스트 생성
2. 전역 렉시컬 환경 생성
2.1. 전역 환경 레코드 생성
2.1.1. 객체 환경 레코드 생성
2.1.2. 선언적 환경 레코드 생성
2.2. this 바인딩
2.3. 외부 렉시컬 환경에 대한 참조 결정 (상위 스코프와의 스코프 체인)전역 실행 컨텍스트와 렉시컬 환경 1. 전역 실행 컨텍스트 생성
- 비어있는 전역 실행 컨텍스트를 생성하여 실행 컨텍스트 스택에 푸시한다. 이때 전역 실행 컨텍스트는 실행 컨텍스트 스택의 최상위,
즉 실행 중인 컨텍스트가 된다.2. 전역 렉시컬 환경 생성
- 전역 렉시컬 환경을 생성하고, 전역 실행 컨텍스트에 바인딩.
2.1 전역 환경 레코드 생성
- 전역 렉시컬 환경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인 전역 환경 레코드는 전역 변수를 관리하는 전역 스코프, 전역 객체의 빌트인 전역 프로퍼티와 빌트인 전역 함수, 표준 빌트인 객체를 제공 및 관리
- 전역 환경 레코드의 객체 환경 레코드 (var) 와 선언적 환경 레코드 (let, const)는 서로 협력하여 전역 스코프와 전역 객체를 관리
2.1.1 객체 환경 레코드 생성 (var)
- 전역 환경 레코드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인 객체 환경 레코드는 BindingObject 라고 부르는 객체와 연결.
- 전역 코드 평가 과정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와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된 전역 함수는 전역 환경 레코드의 객체 환경 레코드에 연결된 BindingObject를 통해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와 매서드가 됨.
var x = 1; const y = 2; function foo(a){ ... 생략
객체 환경 레코드 생성 변수 호이스팅
- 해당 예제에서, var 변수 x 는 "선언"과 "초기화"가 동시에 진행된다.
- 즉, 전역 코드 평가 시점에 객체 환경 레코드에 바인딩된 BindingObject를 통해 전역 객체에 변수 식별자를 키로 등록한 다음, undefined를 바인딩이 됨. (x에 1 할당은, 실행과정에서 할당)
- 따라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코드 실행 단계에서 변수 선언문 이전에 참조 가능. (단, undefined) > 호이스팅 이유
함수 호이스팅
- 정의한 함수 (foo 함수)가 평가되면, 함수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를 객체 환경 레코드에 바인딩된 BindingObject를 통해 전역 객체에 키로 등록하고 생성된 함수 객체를 즉시 할당. (vs 변수는 코드 실행과정에서 할당)
-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한 함수는 함수 선언문 이전에 호출가능
- 함수 호이스팅과 변수 호이스팅의 차이
'> 기초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2024.03.19 - JS - 이벤트 버블링 & 캡처링 (0) 2024.03.19 TIL-2024.02.27 - JS - 실행 컨텍스트-4. 렉시컬 환경-3 (0) 2024.02.27 TIL-2024.02.25 - JS - MAP과 예제 (1) 2024.02.25 TIL-2024.02.23 - JS - 실행 컨텍스트-2. 실행 컨텍스트 스택과 렉시컬 환경 (0) 2024.02.23 TIL-2024.02.21 - JS - 실행 컨텍스트-1 (0) 2024.02.21